여행이야기/경상도여행

겁외사-성철스님 생가

하얀벼리 2012. 1. 20. 15:32

 

 

 

겁외사는

 

 

 

불교의 겁이 의미하는 긴 시간을 벗어난

시공을 초월한 사찰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성철 스님의 큰 뜻을 기리기 위해 2001년 창건된사찰이다.

18개의 다리가 있는 벽해루에는 '지리산 겁외사'라는 글귀가 씌여있다.

(윗쪽은 입구 에서 본 모습, 아랫쪽은 사찰 안쪽에서 본 모습이다)

입구의 현판에 있는 성철스님 사진과 오도송

 

 

입구를 들어서면 정면으로 보이는 모습 

 

 

대웅전-벽면에는 성철스님의 일대기가 그림으로 그려져있다.

 

  

 

 

혜근문은 생가로 들어서는 문이다.

 

 

왼쪽으로는 성철스님의 유물이 전시되어있는 '포영당'이 있다.

 

 

 

 

유물전시관인 포영당에는

스님이 입던 누더기옷과 도첩, 읽은책, 필기노트, 승려신분증등

생활속의 소소한 물품들과 사리의 사진등이 전시되어 있다.

 

 

 

 

정면의 율은고거(율은은 아버지 이상은의 호)

 

 

오른쪽엔 사랑채인 율은재

내부의 모습

 

 

 

 

 

 

 

 

스님의 누더기 옷을 보면서

성철스님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성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철(性徹: 1912년 음력 2월 19일(양력 4월 6일)~1993년 11월 4일)은

대한민국승려이다.

속명은 이영주이다. 현대 대한민국의 선불교 전통을 대표하는 수행승이다.

 경상남도 산청에서 출생했다.

1936년해인사에서 동산(東山) 대종사에게 사미계를 받고 승려가 되었다.

 1938년 운봉화상계사(戒師)로 보살계 · 비구계를 받았고,

그 뒤 봉암사(鳳巖寺)에서 청담(靑潭) 등과 함께 수행하며

부처답게 살 것을 결사하는 등 새로운 선풍(禪風)을 고양시켰다.

1967년 해인총림(海印叢林) 초대 방장(方丈)이 되었고,

 1981년 대한불교 조계종 제7대 종정(宗正)에 취임하였다.

세속에 거의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다.[1]

교리에 대한 그의 입장은 저서인 《선문정로》(1981)에 잘 나타나 있다.

 대한민국 선불교의 수행 전통으로 여겨온

지눌돈오점수(頓悟漸修)에 반대하여

돈오돈수(頓悟頓修)를 주창했다.

그 후 현재까지 대한민국 불교 철학계의 돈 · 점 논쟁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성철에 따르면, 앎과 행동이 일치된 단계의 앎만이 진정한 앎이며,

지눌돈오점수는 이론적 앎일 뿐 참 앎이 아니라는 것이다.

러나 지눌과 성철은 가르침의 대상이 달랐기 때문에 옳고 그름을 따지기가 어렵다.

 지눌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인생의 가르침을 폈으며,

성철은 수행승을 대상으로 했다.[1]

육조단경(六組檀經)》, 《전등록(傳燈錄)》 등 선문의 조사 어록을

중심으로 많은 법어를 이루었는데,

관념의 도그마에 빠지지 말 것과 견성의 체험을 강조하였다.

1993년 해인사에서 입적하였다. 저서로 《돈오입도요문강설》(1986) 등이 있다.

성철의 유명한 법어로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수행하는 사람이 자그마한 깨달음을 얻었을 때에는 물이 산으로,

산은 물로 보이는 혼돈을 겪게 되지만,

깨달음의 수준이 자라면서 물은 물로, 산은 산으로 보게 된다는

즉, 만물을 객관적으로 보게 되는

지혜(반야 · 보리)를 갖게 된다는 법어이다.

 

 

 

새해를 맞으며 찾아본 겁외사에서 많은 생각에 잠겨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