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문인화공부

하얀벼리 2011. 8. 16. 07:00

 

 

 

 

o.서예가 흑백예술이란 점에서 종이의 백(白)과 함께 불멸의 광채를 낸다.

 

o. 먹색은 이 세상의 모든 색을 합친 검은 색이다.

 

o. 고로 먹색은 모든 색이 함유되어 있으며 묵색의 농담으로 천변만화(千變萬化)의 다채다자(多彩多紫)를 이룸

 

o. 글씨를 쓰는데 먹을 쓰는 현오함을 터득하였다면 이미 높은 경지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먹의 역사

o. 상고시대(上古時代) - 석묵(石墨) 혹은 석탄(石炭)

석묵으로 쓴 글씨는 희미하고 쉽게 지워지므로 석묵에 옻을 섞어 쓰기도 하고 옻만으로도 사용.

 

o. 앙소문화의 도기- 사람 얼굴, 물고기 문양, 사슴, 식물모양 등 운대의 갑골문(胛骨文) 칼로 새겼던 글자에 먹을 칠함

-. 이러한 것을 보면 종이나 붓보다 역사가 오래됨을 알 수 있다.

 

o.중고시대(中古時代)- 전한(前漢)과 후한(後漢)

 

o.위(魏), 진(晋)나라 때 옻과 소나무 그을음으로 묵환을 만듬.

칠연, 송연이 있음.

 

o. 당나라의제조 기숭이 더욱 발달됨.

 

o.우리나라(고려초)-소나무 그을음과 녹교로 송연을 제조하여 당나라에 선물함.

 

o. 황해도 해주산인 수양매월이 특산품이지만 제조 비법이 끊겨 현재는 절품으로 양질의먹이 없는 상태.

 

o.명(明) 청(淸)이후 - 먹의 제조가 더욱 개발되어 정교하게 제작됨.

 

 

 

먹의 종류

o. 유연-등유, 채유, 마유 혹은 저유를 태운 연기를 피운 그을음으로 용뇌향과 향료를 더하여 만듬.

 

o. 오색칠연-먹의 최고품

 

o. 초공연

 

o. 공연

 

o. 정연

 

o.송연- 소나무 가지를 태워 연기를 낸 후 피운 그을음으로 약재와 향료를 배합하여 만듬.

 

o. 선연- 공업용 카본에 아교와 향료를 더해 만든 일반적인 먹

먹의 성질

 

o. 유연먹- 상등(上等)의 먹으로 견고하고 치밀하여 덜 닳으며 까맣게 빛이 난다. 단점은 아교의 비중이 많다.

 

o. 송연묵- 색깔은 검고 광택이 모자라며 아교가 적어 단단하지 않아서 물에 쉽게 풀린다.

 

o. 선연묵- 보통 습작용으로 사용

 

 

 

먹의 선별법

o. 입자가 미세하고 윤기의 유무(윤기가 있어야 좋은 먹)

 

o. 만져서 거친 느낌의 유무(매끄러워야 좋은 먹)

 

o.묵정이 자색의 광택이 있는가(광택이 있어야 최상 먹)

청색빛을 띠고 잇는것은 그 다음이다.

 

 

 

먹의 향기 유무

o. 좋은 먹은 맡으면 향기가 없으나 갈게 되면 한 차례의 먹은 향기를 풍긴다.

 

o. 입에 대고 입김을 한번 불어 본 후에 재빨리 냄새를 맡아본다. 경미한 사향과 봉뇌의 냄새가 풍기면 좋은 먹이다.

 

o.무게- 좋은 먹이 무겁다는 설도 있고, 반대로 가벼운 것이 좋은 먹이라는 설도 있다.

 

o.두르려보면 맑은 소리를 내는 것이 좋은 것이고 나쁜 먹은 소리가 없다.

 

o. 좋은 먹은 벼루에 갈면 끈적끈적 달라 붙는 듯한 느낌이 든다.

 

 

 

먹과 글자의 크기와 의 관계

 

o. 큰 글씨를 쓸 때 - 먹 입자가 다소 긁어도 무방함

 

o. 작은 글씨를 쓸 때 - 먹은 반드시 미세하여야 함.

 

 

 

벼루 물의 선택

 

o. 잡된 것이 없는 맑은 물.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생수면 무방함.

 

o.수돗물은 깨끗한 병에 넣어 1~2일 침식시켜 사용하면 된다.

 

o. 뜨거운 물이나 찻물은 사용하면 안된다.

 

o. 입자가 굵어지거나 먹의 광택에 손상을 입음.

 

 

 

 

 

먹 가는 법

 

o.먹은 묵직하면서도 가볍게 갈아야하며 수직으로 곧게 세워서 동일한 방법으로 갈아야한다.

 

o. 먹을 갈 때는 소리가 나지 않아야한다.

 

o. 깨끗한 벼루에 새물로 먹을 갈며 천천히 갈아야한다.

 

o.먹을 갈면서 힘주어 갈지 말고 정신을 맑게하여 한편으로 명인들의 법첩을 감상하는 것도 좋은 일이다.

 

 

 

 

먹의 농담

 

o. 서예나 사군자에서 먹물이 마르고 축축한 것보다 진하고 흐린 것을 더욱 중요시 여기고 있다.

 

o. 옛사람들은 축축한 것으로 연미함은 취하고 마른 것으로 험악함을 취한다고 한다.

 

o. 진한 것은 작품에서 웅장한 기세를 표현하기에 적당하며 흐린 먹은 고상한 경지를 표현하기에 적당하다.

 

o. 한 폭의 작품에는 마르고 축축한 것이 서로 어우러져 진하고 흐린 것으로 체(體)를 이루어야 걸작이 될 수 있다.

 

o. 먹을 진하게 갈아놓고 그것을 물로 엷게 해서 써야지 처음부터 먹을 엷게 갈아 쓰면 고상하고 우아한 먹빛을 얻지 못한다.

 

 

 

 

 

먹의 보관법

 

o.먹은 직사광선을 피하고 습한 곳에두지 말 것.

 

o.먹을 쓰지 않을 때는 쑥 속에 넣어두면 좋음.

 

o. 안개 장마 때에는 종이에 싸서 석회에 넣어두면 질이 변하지 않고 곰팡이도 생기지 않는다.

 

 

 

 

먹의 삼생(三生)

o.생연(生硯) - 벼루에 물을 부었을 때 먹이 있어서는 안 되며 매일 한번 씻어서 먹물이 골고루 조화를 이루어야만 효과를 상하지 않게 됨.

 

o. 생묵(生黙) - 숙묵(熟黙)이 아닌 그 날 쓸 만큼 갈아 놓은 먹.

 

o. 생수(生水) -빗물이나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생수

 

o. 조윤- 먹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표현

조- 먹색이 마른 것을 말함

윤 - 먹색이 축축한 것을 말함

 

 

o. 먹이 잘 갈리는 벼루도 발묵이 좋지 않으면 좋은 벼루가 아니며 좋은 먹도 좋은 벼루를 만나야 발묵이 좋음

 

 

 

'창작 > 문인화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초꽃 그리기  (0) 2011.09.04
난 그리기  (0) 2011.08.22
낙관(落款)  (0) 2011.08.10
벼루  (0) 2011.08.09
종이  (0) 2011.08.07